맨위로가기

북주 무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주 무제는 560년 황위에 오른 북주의 황제이다. 그는 우문호를 제거하고 친정을 시작하여 북제를 멸망시키고 화북을 통일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이루었으나, 불교와 도교를 탄압하는 종교 정책을 펼쳤다. 그의 치세는 강력한 중앙 집권 정책으로 국가 발전을 이끌었지만, 종교의 자유를 억압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2024년 유전자 연구를 통해 그의 외모가 복원되었으며, 뇌졸중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78년 사망 - 유스티누스 2세
    유스티누스 2세는 565년부터 578년까지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으며, 그의 치세는 재정 고갈, 아바르족 침입, 사산 제국과의 전쟁, 융통성 없는 외교, 정신 질환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 578년 사망 - 고항
    북제의 마지막 황제 고항은 577년 아버지로부터 제위를 물려받았으나 곧 북주에 항복하여 북제가 멸망했고, 이후 장안으로 압송되었다가 목제파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9세의 나이로 처형되었다.
  • 북주의 사공 - 후막진숭
    후막진숭은 북위 말 혼란기에 두각을 나타내어 서위 건국에 공헌하고 북주에서 요직을 역임했으나 우문호의 몰락을 예측했다가 자결한 군인이자 관료이며, 그의 활약은 주서와 북사에 기록되어 전해진다.
  • 북주의 사공 - 양충 (북주)
    양충은 남북조 시대 서위와 북주의 장군이자 수나라를 건국한 수 문제 양견의 아버지로, 북위에서 벼슬을 시작하여 서위와 북주를 거치며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워 북주 건국 후 원수로 임명되었고, 사후 아들 양견에 의해 무원황제로 추존되었다.
  • 543년 출생 - 문헌황후
    독고신(獨孤信)의 딸이자 수 문제의 황후인 문헌황후 독고씨는 수나라 건국 후 황후가 되어 검소한 생활과 정치 참여로 '이성(二聖)'으로 불렸으나, 강한 질투심과 후계 구도에 깊이 관여했다.
  • 543년 출생 - 양 경제
    양 경제는 남조 양나라의 마지막 황제로, 서위의 공격으로 아버지 원제가 죽자 양왕으로 옹립되어 국정을 맡았으나 진패선에게 제위를 넘겨주고 암살당했다.
북주 무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주 무제
당나라 화가 염립본(c. 600–673)의 주 무제 초상화
칭호황제
우문옹(宇文邕)
묘호고조(高祖)
시호무황제(武皇帝)
통치
국가북주
재위 기간560년 5월 31일 – 578년 6월 21일
연호보정(保定): 561-565
천화(天和): 566-572
건덕(建德): 572-578
선정(宣政): 578
섭정우문호(572년까지)
전임자명제(明帝)
후임자선제(宣帝)
생애
출생543년
사망578년
매장지효릉(孝陵)
가문
성씨우문(宇文)
왕조북주
부친우문태
모친선태후(宣太后)
배우자무성황후(武成皇后)
이아자태후(李娥姿太后)
자녀선제
우문찬(宇文贊)
우문지(宇文贄)
우문윤(宇文贇)
우문충(宇文充)
우문퇴(宇文兌)
우문원(宇文元)
청두공주(淸都公主)
의양공주(義陽公主)

2. 생애

560년, 명제를 시해한 우문호에 의해 황제로 등극했다.[3] 572년 우문호를 제거하고 친정을 시작한 무제는 도교불교를 탄압해 재산을 몰수하고, 승려와 도사를 병사로 강제 징병했다.[12]

유교, 불교, 도교를 통합 연구하는 기관인 통도관을 설치하고 우수한 승려나 도사를 학사로 수용했지만, 이는 불교와 도교를 억압하기 위한 명분이었다.[12] 이를 종교계에서는 2번째 '삼무일종의 폐불'이라고 한다.

575년 북제를 공격해서 577년 북제를 멸망시킨 뒤, 화북을 통일하였다. 그러나 진나라를 공격할 준비를 하다가 578년 병사했다.[3]

무제의 성격은 냉정 침착하고 심모원려했으며, 즉위 초기에는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들었다. 외교의 기본 방침은 남조 진과는 우호 관계를 맺고, 북제를 공격하는 것이었다. 돌궐과 동맹하여 북제를 공격하기도 했다. 유교, 불교, 도교에 관한 토론회(삼교 담론)를 열어 유학자, 승려, 도사의 지도자들에게 참여하게 하여 그 우열을 겨루게 했다.

572년, 수도 장안으로 돌아온 우문호를 주살하고 친정을 시작했다.

574년, 도교불교를 모두 폐지했지만, 통도관을 설치하고 120명의 통도관 학사를 선임했다. 사찰 파괴와 재산 몰수, 승려환속을 통해 재산을 몰수하고, 세금을 회피할 목적으로 승적에 들어가는 자들을 환속시켜 세금을 징수함으로써 재정 개선을 꾀했다.

573년, 남조 진의 선제 진욱이 오명철을 보내 북제군을 격파하고 수양 등 강북의 9군을 빼앗았다. 약해진 북제에 이 토지를 되찾을 능력이 없다고 판단한 무제는 575년 북제를 공격, 576년 평양과 진양을 빼앗았으며, 577년 수도 을 포위했다. 북제군은 전의가 부족했고, 고위와 황족들은 도주했지만 청주에서 붙잡혔다. 북제를 멸망시키고 북위 분열 이후 40여 년 만에 화북이 통일되었다. 무제는 북제의 구 황족인 고씨 일족과 신하들에게 관대하게 대했고,[12], 이덕림은 법률 제도 정비를 위해 중용되었다. 구 북제 영내에서도 불교와 도교를 폐지했다.

578년, 팽성에서 진군을 격파하고 오명철을 붙잡아 회덕공에 봉하는 등 후대했다. 같은 해, 돌궐에 친정을 꾀했지만, 출발 후 병에 걸려 얼마 지나지 않아 붕어했다. 향년 36세 (만 34세). 유해는 장안의 교외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543년, 서위의 실권자 우문태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우문태의 후궁 친씨 부인이었다. 당시 우문태의 본부였던 동주(同州, 대략 현재의 산시성 웨이난 시)에서 태어났다. 그는 젊은 시절 효성이 지극하고, 존경할 줄 알며, 총명하다고 여겨졌다.[3] 560년, 명제(明帝)를 시해한 우문호(宇文護)에 의해 황제로 등극했다.

2. 2. 우문호 제거와 친정 시작

560년, 우문호(宇文護)에 의해 황제로 등극했다.[3] 우문호는 섭정으로 활동했다. 무제는 재위 초반에는 주로 침묵하는 황제였다고 전해지며, 우문호에게 정부를 자유롭게 맡겼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에게 충성할 관리들을 키우기 시작했다. 그는 공식적으로 우문호에게 군사 권한뿐만 아니라 6부의 권한까지 부여했다.

563년 봄, 무제는 원주(原州, 대략 오늘날의 닝샤성 구위안시)를 방문하던 중 설명 없이 갑자기 장안으로 돌아왔다. 그의 수행원 중 한 명인 후모진총(侯莫陳崇)은 그의 동료들에게 우문호가 죽었다고 추측했다. 후모진총의 추측이 알려지자, 무제는 공개적으로 후모진총을 질책했고, 같은 날 밤, 우문호는 군대를 보내 후모진총의 저택을 포위하여 자결하도록 강요했다. 그 직후, 그는 공개적으로 우문호에게 그의 이름을 명칭 기피의 대상이 되게 하는 명예를 수여했지만, 우문호는 이를 거절했다.

564년 가을, 우문호를 달래기 위해 북제 무성제는 우문호의 어머니 연 부인과 그의(그리고 무제의) 고모(우문태의 여동생)를 돌려보냈는데, 그녀는 수십 년 전에 북제 영토에 갇혀 있었다. 연 부인의 귀환을 기념하기 위해 무제는 대사면령을 내리고, 평범한 조카처럼 그녀 앞에서 몸을 낮추었다.

567년, 무제의 형제 위공 우문직(宇文直)은 우문호에게 앙심을 품고 몰래 무제가 우문호를 제거하도록 부추겼다.

572년까지 우문호는 16년 동안 군사를, 거의 그만큼의 기간 동안 정부를 통제했다. 무제는 오랫동안 그를 제거하고 싶어 했지만, 겉으로는 거의 그런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그는 우문직, 먼 친척 우문신거(宇文神舉)와 우문효백(宇文孝伯), 그리고 왕궤(王軌)와 공모하여 우문호를 제거하려 했다. 572년 봄, 그는 행동을 개시했다. 무제와 우문호가 만난 후, 그는 우문호를 황태후 치누를 만나도록 궁으로 초대했다. 황태후의 궁으로 가는 길에 그는 우문호에게 황태후 치누가 알코올 중독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술을 끊으라는 자신의 충고를 듣지 않는다고 말했고, 그래서 우문호에게 그녀의 행동을 바꾸도록 조언해달라고 부탁했다. 그는 또한 우문호에게 주나라 성왕이 쓴 반알코올 선언문인 ''주고'' (酒誥)의 내용을 건네주며, 황태후 치누에게 ''주고''를 읽어주라고 제안했다. 그들이 그녀의 궁에 도착하자, 무제의 요청에 따라 우문호는 ''주고''를 읽기 시작했다. 그가 그것을 다 읽기도 전에 무제는 그의 뒤로 다가가 옥으로 만든 패로 그의 머리 뒤를 쳤다. 우문호는 바닥에 쓰러졌고, 근처에 숨어 있던 우문직이 뛰쳐나와 우문호의 머리를 베어 우문호의 권력을 끝냈다. 우문호의 아들, 형제, 그리고 핵심 측근들은 모두 처형되었다.[3]

우문호의 죽음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우문직은 우문호의 자리를 차지하려고 했지만, 황제는 직접 국정을 통제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권한을 여러 관료에게 분담하고 대부분의 권한을 자신이 유지했다. 그는 기회를 이용하여 죽은 형제 효민제(우문호는 이전에 그렇게 하는 것을 거부했었다)에게 존칭을 올리고 아들 우문윤을 노공 태자로 책봉했다. 그는 또한 노골적인 사치를 반대하기 시작했고, 지나치게 사치스럽다고 생각되는 여러 궁궐과 화려하게 장식된 다른 물품들을 파괴했다.

2. 3. 북제 멸망과 화북 통일

572년 친정을 시작한 무제는 도교불교를 탄압해 재산을 몰수하고, 승려와 도사를 병사로 강제 징병했다. 575년 북제(北齊)를 공격해 577년 북제를 멸망시키고 화북을 통일했다. 그러나 진나라를 공격할 준비를 하다가 578년 병사했다.[3]

2. 4. 종교 정책

572년 무제는 친정을 시작하면서 거대한 권력, 재산, 토지를 소유한 도교불교를 탄압하여 재산을 몰수하고, 승려와 도사를 병사로 강제 징병했다.[12] 이는 국가 재정을 확충하고 군사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한편으로는 유교, 불교, 도교를 통합 연구하는 기관인 '통도관'을 설치하고 우수한 승려나 도사를 학사로 수용했지만, 이는 불교와 도교를 억압하기 위한 명분에 불과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무제의 종교 탄압은 '삼무일종의 폐불' 중 두 번째로 불리며, 종교계의 큰 반발을 샀다.[12] 불교 교단에서는 무제가 불교 탄압으로 인해 불벌을 받았다는 설화를 유포하기도 했다.[13]

현대 한국 사회의 관점에서 무제의 종교 정책은 종교의 자유를 억압한 사례로 비판받을 수 있다.

3. 가족 관계


  • 무성 황후 아사나씨 (武成皇后 阿史那氏|무성황후 아사나씨중국어; 551–582)
  • 황태후 이씨 (天元聖皇太后 李氏|천원성황태후 이씨중국어; 535–588), 이름 아지 (娥姿|아지중국어)
  • 우문윤, 선제 (宣皇帝 宇文贇|선황제 우문윤중국어; 559–580), 장남
  • 우문찬, 한왕 (漢王 宇文贊|한왕 우문찬중국어; 581년 사망), 차남
  • 시부 설씨 (世婦 薛氏|세부 설씨중국어)
  • 우문태, 채왕 (蔡王 宇文兌|채왕 우문태중국어; 581년 사망), 여섯째 아들
  • 쿠한씨 부인 (庫汗氏|고한씨중국어)
  • 우문지, 진왕 (秦王 宇文贄|진왕 우문지중국어; 581년 사망), 셋째 아들
  • 우문윤, 조왕 (曹王 宇文允|조왕 우문윤중국어; 581년 사망), 넷째 아들
  • 풍씨 부인 (馮氏|풍씨중국어)
  • 우문충, 도왕 (道王 宇文充|도왕 우문충중국어; 581년 사망), 다섯째 아들
  • 정씨 부인 (鄭氏|정씨중국어)
  • 우문원, 형왕 (荊王 宇文元|형왕 우문원중국어; 581년 사망), 일곱째 아들
  • 미상
  • 청두 공주 (清都公主|청도공주중국어)
  • 시보공(Shibao) 염비(閻毗|염비중국어)와 결혼, 자녀 (두 아들, 염립본 포함)
  • 의양 공주 (義陽公主|의양공주중국어)
  • 친창공(Qinchang) 우상현(於象賢|우상현중국어)과 결혼
  • 딸 (570년 출생)

3. 1. 조부모와 부모

조부우문굉, 덕황제(德皇帝)
조모명덕황후 왕씨
부친우문태, 태조 문황제
모친문선황후 질노씨


3. 2. 황후

봉호시호이름(성씨)별칭재위년도생몰년도국구(장인/장모)능묘비고
황후(皇后)무성황후(武成皇后)아사나씨(阿史那氏)[15]568년 ~ 578년551년 ~ 582년돌궐(突厥) 목간 가한(木杆 可汗) 아사나 사근(阿史那 俟斤)효릉(孝陵)[16]
희(姬)태제태후(太帝太后)이아자(李娥姿)[17](추존)535년 ~ 588년[18]


  • 정실: 아사나 황후
  • 측실: 이황후

3. 3. 후궁

봉호이름(성씨)비고
비(妃)심씨(沈氏)[19]
비(妃)이씨(李氏)
희(姬)사한 씨(厙汗氏)
희(姬)풍씨(馮氏)
희(姬)정씨(鄭氏)
세부(世婦)설씨(薛氏)
정씨(鄭氏)


  • 무성 황후 아사나씨 (武成皇后 阿史那氏|무성황후 아사나씨중국어)
  • 황태후 이씨 (天元聖皇太后 李氏|천원성황태후 이씨중국어; 535–588), 이름 아지 (娥姿|아지중국어)
  • 쿠한씨 부인 (庫汗氏|고한씨중국어)
  • 풍씨 부인 (馮氏|풍씨중국어)
  • 정씨 부인 (鄭氏|정씨중국어)
  • 시부 설씨 (世婦 薛氏|세부 설씨중국어)
  • 정실: 아사나 황후
  • 측실: 이황후, 고한희, 풍희, 설세부, 정희 (북제의 남양왕 고작의 과부)

3. 4. 황자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1황태자(皇太子)우문윤559년 ~ 580년태후 이아자[20]제4대 황제 선제.
2한왕(漢王)우문찬(宇文 贊)? ~ 581년태후 이아자[21][22]
3진왕(秦王)우문지(宇文 贄)? ~ 581년사한희[23][24]
4조왕(曹王)우문윤(宇文 允)? ~ 581년사한희[25][26]
5도왕(道王)우문충(宇文 充)? ~ 581년풍희[27]
6채왕(蔡王)우문태(宇文 兌)? ~ 581년세부 설씨[28]
7형왕(荊王)우문원(宇文 元)? ~ 581년정희[29]


3. 5. 황녀

순번봉호이름생몰년도생모부마별칭비고
1청도공주(淸都公主)석보현공(石保縣公)
염비
2의양공주(義陽公主)금창현백(禽昌縣伯)
우상현(于象賢)
3공주(公主)570년 ~ ?


4. DNA 분석 및 외모

2024년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북주 무제는 고대 동북아시아인 계통(약 62%)이 주를 이루며, 한족과 관련된 '황하 농부' 계통의 유전자도 일부(약 32%)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6%는 서부 스텝 유목민에서 유래했다.[4]

연구진은 DNA 분석을 통해 무제의 얼굴을 복원했는데, CNN재구성된 얼굴을 게시했다. 연구 결과, 무제는 "전형적인 동아시아 또는 북동아시아의 얼굴 특징"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9][10] 이는 6세기경 무제가 속했던 선비족의 외모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무제의 부인인 아시나 부족 출신 아시나 황후에 대한 이전 연구에서는 그녀가 거의 전적으로 고대 동북아시아인 계통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4]

5. 평가

무제는 북주를 강성하게 만들고 화북을 통일한 군사적 업적을 남겼다.[12] 그러나 그의 종교 탄압은 종교의 자유를 억압하고 사회적 갈등을 야기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불교계에서는 무제의 폐불 정책으로 인해 불벌을 받았다는 설화가 유포될 정도로 큰 타격을 입었다.[13]

무제의 통치 방식은 강력한 중앙집권 정책을 통해 국가 발전을 추구했지만, 동시에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제한했다는 점에서 현대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종교 정책은 종교와 국가 간의 관계 설정에 대한 중요한 역사적 사례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는 현대 사회와 비교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참조

[1] 서적 Book of Zhou
[2] 서적 Zhou Shu 578-06-21
[3] 논문 MORTUARY ART IN THE NORTHERN ZHOU CHINA (557-581 CE): VISUALIZATION OF CLASS, ROLE, AND CULTURAL IDENTITY http://d-scholarship[...] 2010
[4] 간행물 Ancient genome of the Chinese Emperor Wu of Northern Zhou http://dx.doi.org/10[...] 2024
[5] 서적 Daoism Handbook Brill
[6] 서적 The Wiley-Blackwell Companion to Chinese Religions John Wiley & Sons
[7] 서적 Chinese Architecture in an Age of Turmoil, 200-6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4-12-31
[8] 서적 Six Dynasties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7-01-01
[9] 뉴스 Ancient DNA reveals intriguing details about a sixth century Chinese emperor https://edition.cnn.[...] 2024-03-28
[10] 간행물 Ancient genome of the Chinese Emperor Wu of Northern Zhou https://www.cell.com[...] 2024-03
[11] 웹사이트 Ancient Genome of Emperor Wu (We target-captured the Emperor Wu genome at a coverage of 0.15x) https://ngdc.cncb.ac[...]
[12] 문서 ただし、後に高一族の多くは根絶やしにされて途絶えている。高歓直系の子孫で生き残った例外としては、[[唐]]代に[[高長恭]](蘭陵王)の孫とされる[[高元簡]]なる人物が辛うじて確認でき、高歓の九男の武成帝の子孫が隋の時代まで生き残っている。それ以後の高歓直系の子孫の動向は史料から窺い知ることはできない。傍系としては高歓の従弟である[[高岳]]の孫の[[高士廉]]の系統が少なくとも[[9世紀]]末まで存続している。また、高士廉の妹の高氏が長孫晟の嫁ぎ、[[長孫無忌]]・[[長孫皇后]]兄妹が誕生している。この兄妹の系統もしばらく存続し、特に長孫皇后は唐の第2代皇帝・太宗の妃となり、第3代皇帝・高宗の母となっている。唐の皇帝の座は代々、高宗の子孫が[[907年]]の唐滅亡まで世襲で継承した為、唐最後の皇帝・哀帝まで高氏一族の血筋である。つまり、北斉の傍系である高岳の血筋は唐皇室の祖先の1つとなっているのである。
[13] 문서 ①『[[続高僧伝]]』巻25、感通中「益州野安寺衛元嵩伝」隋開皇8年、京兆の杜祈の故事。②『[[法苑珠林]]』巻79、十悪篇、邪見部、感応縁 隋開皇11年、内太府寺丞の趙文昌の故事。③『[[冥報記]]』巻下 監膳儀同の跋彪の故事。(『法苑珠林』巻94にも重出)
[14] 웹사이트 6世紀中国を統治した北周武帝、DNAから相貌を復元 死因にも光 https://www.cnn.co.j[...] 2024-03-30
[15] 문서 황태후(皇太后)/천원황태후(天元皇太后)/천원상황태후(天元上皇太后)/태황태후(太皇太后)/무덕황후(武德皇后)
[16] 문서 사후 [[수 문제]]에 의해 황후로 추존됨.
[17] 문서 제태후(帝太后)/천원제태후(天元帝太后)/천황태후(天皇太后)/천원성황태후(天元聖皇太后)
[18] 문서 북주 멸망 후 불교에 귀의함.
[19] 문서 [[당나라]] 제8대 황제 [[당 대종]]의 황후 [[예진황후]](睿眞皇后)의 6대조 [[상서좌복야]](尙書左仆射) 심협(沈勰)의 딸
[20] 문서 노국공(魯國公)
[21] 문서 한국공(漢國公)
[22] 문서 북주 멸망 후 [[수 문제]]에게 피살 당함.
[23] 문서 진국공(秦國公)
[24] 문서 북주 멸망 후 [[수 문제]]에게 피살 당함.
[25] 문서 조국공(曹國公)
[26] 문서 북주 멸망 후 [[수 문제]]에게 피살 당함.
[27] 문서 북주 멸망 후 [[수 문제]]에게 피살 당함.
[28] 문서 북주 멸망 후 [[수 문제]]에게 피살 당함.
[29] 문서 북주 멸망 후 [[수 문제]]에게 피살 당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